웹 프런트엔드 프로그래머
김무훈입니다.

내년 2월 졸업 예정인 컴퓨터 공학 4학년 학부생입니다. 졸업 이전 취업 확정을 목표로 구직 중입니다.
산업기능요원 준비를 계기로 실무에서 약 3년여 동안 다양한 웹 프런트엔드 서비스 개발을 경험했습니다.

업무 경험

웹 프런트엔드 엔지니어, 펜슬컴퍼니

아마추어 웹 소설 저작 및 열람을 위한 서비스 ‘글리프‘의 출시 3개월 전 계약직 프런트엔드 엔지니어로 합류해서 6개월간 근무했습니다. 오픈 비즈니스 스타트업1을 지향하여 웹 서비스의 코드베이스가 오픈소스로 관리되었습니다.
*회사 재정난으로 인해 해당 웹 서비스의 운영이 2025년 3월에 중단되었습니다.

프로젝트 공통 사용 도구 및 시스템

  • 주요 사용 도구: Vite, TypeScript, SvleteKit, PandaCSS, GraphQL
  • 백엔드와 데이터 모델 공유: GraphQL 스키마를 활용해 원활하게 협업했습니다.
  • 위지윅(WYSIWYG) 문서 편집 기능 구현: Tiptap 에디터 개발 키트를 통해 콘텐츠 편집기 구현을 담당했습니다.

주요 업무

  • 글리프(구 펜슬) 런칭 준비

    • 위지윅 에디터의 기능 구현을 CTO와 협업해 담당했습니다. (PR#353, PR#357, PR#552, PR#363 참고)
    • 동료로서 서비스 기획 방향과 사용성에 대해 꾸준히 의견을 내고, 프런트엔드 전반을 설계하고 구현했습니다.
  • UI 리뉴얼 프로젝트

    출시 초기 사용자 의견을 기반으로 주요 기능의 상호 작용을 개선하고자 진행했습니다.

    • 주요 입력 UI의 제어 경험을 개선해 접근성을 강화했습니다. (예: PR#1296 참고)
  • 리브랜딩 작업

    과거 서비스 이름이었던 ‘펜슬’이 검색이 어렵다는 의견을 자주 받아 리브랜딩을 진행했습니다.

    • 서비스 전반에 걸친 로고 및 헤더와 푸터, 위지윅 에디터의 리브랜딩 반영 작업을 전담했습니다.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유니크굿컴퍼니

게이미피케이션 기반 교육과 증강현실(AR) 게임을 운영하는 모바일 게임 플랫폼 “리얼월드“를 만드는 스타트업에서 사내 게임 저작 도구의 기능 구현과 운영을 전담했습니다. 재직 기간 동안 산업기능요원으로 복무했습니다.

주요 업무

  • 플렛폼 운영 환경 개발 및 관리: 사내 CMS 웹 서비스, 모바일 웹뷰 스크린, 게임 내부에 필요한 인터렉티브 웹뷰 등 게임 플렛폼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웹 서비스를 구현하고 개선했습니다.
  • 저작 도구 정기 업데이트: 사내 이용자의 의견을 바탕으로 새로운 기능에 대한 정기 업데이트를 기획하고 구현했습니다.
    • 인게임 웹뷰 편집 확장 플러그인 기능 개발: 게임 내부의 인터렉티브 HTML 웹뷰 편집에 쓰이는 오픈소스 위지윅 편집기에서 기능 확장이 필요한 편집 기능의 플러그인을 구현했습니다.
  • 게임 저작 웹 서비스 브랜딩 리뉴얼: 오래된 사내 게임 저작 도구를 “리얼월드 스튜디오"라는 새 브랜딩에 맞추어 UI를 개편하면서 서비스 전체를 React 개발환경 바탕으로 재구현했습니다.

엔지니어링 인턴, 플라네타리움

오픈소스 P2P 게임 네트워크를 연구·개발하는 오픈 비즈니스 스타트업1 플라네타리움에서 탈중앙화 레퍼런스 게임 “나인 크로니클” 공식 출시 직전 체험형 인턴십을 수행했습니다.

기술 및 경험

외부 발표 및 기고

모두를 위한 웹 접근성은 무엇이고, 어떻게 할까요? 💬 🔉 — FEConf 2025

FEConf 2025 정식 연사로 웹 접근성의 기본 개념과 누구나 쉽게 실천할 수 있는 방법론을 소개했습니다. 발표 자료를 준비하며 방대하고 복잡한 접근성 표준 지침을 누구나 쉽게 이해하고, 주어진 발표 시간 내에 압축하여 설명하는 것이 꽤 도전적이었습니다.

학교 생활 속 불편함 줄이기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9호

제주대학교 학내 웹 서비스의 불편한 사용 흐름을 유저스크립트2로 개선한 과정을 소프트웨어 전문지 마이크로소프트웨어3에 소개했습니다.

위 항목 외에도 다양한 발표 내역을 개인 Speaker Deck 계정에서 꾸준히 보관하고 있습니다.

교육

제주대학교 컴퓨터공학 전공

전공과목 — 자료구조, 알고리즘, 오픈소스,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 공학, 프로그래밍 언어론 등

강의 노트를 GitHub 저장소에 꾸준히 정리하고 있습니다.

  • 산업기능요원 복무를 위해 잠시 장기 휴학을 했었습니다.
  • 2025년 2학기 기준 남은 학점이 5학점 이내로, 취업 확정 시 유연하게 수업 이수가 가능합니다.

연락처 및 외부 링크


  1. 오픈 비즈니스는 제품의 코드를 공개하고,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를 투명하게 공유하는 기업 운영 방식입니다. (Open business - Wikipedia 참고) 이러한 문화를 채택한 기술 회사는 모든 제품을 오픈소스로 운영하며, 서비스의 주요 지표와 재무 상황, 직원 보상 등을 외부에 정기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하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 ↩︎

  2. 유저 스크립트는 특정 웹 서비스의 UI와 기능을 수정하는 자바스크립트 코드 스니펫(snippet)으로, 브라우저 확장(browser extension)과 다르게 적은 코드 규모로 가볍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 Userscript - Wikipedia 참고 ↩︎

  3. 국내에서 1983년 창간된 컴퓨터 프로그래밍 전반의 IT 전문 잡지입니다. 2020년 7월에 발행된 401호를 끝으로 휴간 중입니다.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 위키백과 참고 ↩︎